Arameans
Evidences of our Aramean origin
"And for Aram there came forth the fourth portion, all the land of Mesopotamia between the Tigris and the Euphrates to the north of the Chaldees to the border of the mountains of Asshur and the land of 'Arara."
(The book of Jubilees)
The Arameans are the indigenous people of Syria and Mesopotamia, which the Hebrews called Aram-Naharaim (Aram of the two Rivers). They established several important kingdoms, spread the knowledge of the alphabet, and generally exercised a great influence on the advance of civilization. Their language spread to the neighboring peoples. It survived the fall of Niniveh (612 B.C.) and Babylon (539 B.C.) and remained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Persian empire (538-331 B.C.). There is evidence to show that Aramaic was widely used in Palestine in Roman times. Hence, Jesus and his direct followers spoke Aramaic, and words in that language have been preserved in the New Testament in transliteration as well as translation.
Since the end of the Aramean kingdom of Osrhoene, the peaceful-minded Arameans have been without any state of their own. They have been constantly victimized for different religious massacres, discrimination, ethnic cleansing and persecutions for hundreds of years, so that they became a minority in the area, which was called by themselves Aram, Aram-Nahrin and Beth Aramaye.
After converting to christianity the East and West-Arameans adopted the term "Syrian" (in Greek "Syrioi", in Aramaic "Suryoyo"/"Sur(y)aya"), which became both a lingual and a group designation [to avoid a confusion with the residents of today's Syria i will use here the term "Syriacs"]. But they continued to call themselves Arameans and used this Greek term as a synonym for their original name.
Despites their common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e Arameans of today are divided into various groups (Syriacs, Assyrians, Chaldeans, Maronites, Melkites, Mandeans). Some of the Arameans insist on calling themselves "Assyrians"; other prefer the term "Chaldean".
There are no descendants of the historical ancient Assyrians and the Chaldeans of Antiquity were just a group of Arameans. There is no reason for the present-day Arameans to name their nation "Assyrian" or "Chaldean"- the names given to them by unknown western missionaries in the 16th and 19th century. The only historically correct name for these groups is Aramean, as it is testified by many historians and the great scholars of the Arameans, who enlightened the entire Mankind
아라미안스
우리의 아라미안 기원의 증거들
[아람의 땅] 아람의 네 번째 부분은, 디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메소포타미아 온 땅과, 갈디 강 북쪽에 있는 앗수르 산과 아라 땅 경계에 이르렀다.
(유대인의 서)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의 토착민으로, 히브리인들은 이를 아람 나하라이임(두 강의 아람)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몇 개의 중요한 왕국을 세우고, 알파벳에 대한 지식을 전파했으며, 일반적으로 문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들의 언어는 이웃 사람들에게 전파되었다. 그것은 니니베 (기원전 612년)와 바빌론 (기원전 539년)의 멸망에서 살아남았고 페르시아 제국의 공식 언어 (기원전 538-331년)로 남아있었다. 아람어가 로마 시대에 팔레스타인에서 널리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그러므로 예수와 그의 직속 추종자들은 아람어를 말했고, 그 언어의 단어들은 번역뿐만 아니라 번역으로도 신약성서에 보존되어 왔다.
아람 왕국 오스르호네의 종말 이후, 평화적인 마음을 가진 아람인들은 그들 자신의 어떤 국가도 갖지 못했다. 이들은 수백 년 동안 서로 다른 종교 학살과 차별, 인종 청소, 박해로 끊임없이 희생되어 왔고, 그래서 그들은 그들 스스로가 아람, 아람 나흐린, 벳 아라마예라고 불렀던 이 지역에서 소수자가 되었다.
기독교로 개종한 후, 동서아람인들은 시리아어(그리스어 "Syrioi"로, 아람어 "Suryoyo"/"Sur(y)aya")라는 용어를 채택하였고, 이는 언어이자 집단 명칭이 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계속해서 스스로를 아라미안이라고 불렀고 이 그리스 용어를 그들의 원래 이름의 동의어로 사용했다.
오늘날 시리아인들은 시리아인, 아시리아인, 칼데아인, 마론인, 멜키트인, 만디아인 등 여러 민족으로 나뉘어 있다. 시리아인들 중 일부는 스스로를 "아시리아인"이라고 부르기를 고집하고, 다른 이들은 "찰데아"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고대 아시리아인의 후손은 없으며, 고대 칼데아인들은 단지 시리아인들의 집단일 뿐이었다. 오늘날 시리아인들이 그들의 국가를 16세기와 19세기에 알려지지 않은 서양 선교사들이 지어준 이름인 아시리아나 칼데아라고 부를 이유는 없다. 이 그룹들에 대한 유일한 역사적으로 정확한 이름은 많은 역사가들과 전 인류를 계몽한 아라메인의 위대한 학자들에 의해 증언되고 있는 것처럼 아라미안이다.
The Historians역사학자
Poseidonios from Apamea (ca. 135 BC - 51 BC), was a Greek Stoic philosopher, politician, astronomer, geographer, historian, and teacher."The people we Greek call Syriacs, they call themselves Arameans".아파메아 출신의 포세이도니오스 (기원전 135년경 - 기원전 51년)는 그리스의 스토아 철학자, 정치가, 천문학자, 지리학자, 역사학자, 교사였다. "우리 그리스인들이 시리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시리아인이라고 부른다." (J.G. Kidd, Posidonius(케임브리지 고전 텍스트 및 주석, 1988), 2권, 2쪽, 955-956쪽 참조) (See J.G. Kidd, Posidonius (Cambridge Classical Texts and Commentaries, 1988), vol. 2, pt. 2, pp . 955-956) |
스트라보 (기원전 63년 또는 기원전 64년, 기원후 24년)는 그리스의 역사가, 지리학자, 철학자로 대부분 유명하다. 지리카 ("지리") "포세이도니우스는 이 나라들의 이름도 비슷하다고 추측한다. 우리가 시리아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시리아인 스스로가 시리아인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호레이스 레너드 존스가 번역하고 Vol.로 출판된 스트라보의 지리학). I of the Loeb Classical Library, 1917, 1권, 2장, 34) Strabo (born 63 BC or 64 BC, died ca. 24 AD), a Greek historian, geographer and philosopher is mostly famous for his "Poseidonius conjectures that the names of these nations also are akin; for, says he, the people whom we call Syriacs are by the Syriacs themselves called Arameans." (The Geography of Strabo, translated by Horace Leonard Jones and published in Vol. I of the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1917, Book I, Chapt. 2, 34) |
"아람은 그리스인들이 시리아라고 부르는 시리아인들을 가지고 있었다." (유대인의 고대, 1737년 윌리엄 휘스턴에 의해 번역, 1권, 6장) Flavius Josephus (c. 37 – c. 100 AD (or CE)) was a 1st century Jewish historian and apologist of priestly and royal ancestry who survived and recorded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70 and later settled in Rome. "Aram had the Arameans, which the Greeks called Syriacs." (Antiquities of the Jews, translated by William Whiston in 1737, Book I, Chapt. 6) |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 275년경 ~ 339년 5월 30일)는 팔레스타인 카이사리아의 주교로 종종 카이사리아의 아버지로 언급된다. 초기 기독교 교회의 역사를 기록하는 그의 업적 때문에 교회의 역사. 시리아 사람은 시리아 사람이라고도 한다. Eusebius of Caesarea (c. 275 – May 30, 339), was a bishop of Caesarea in Palestine and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ather of "and from Aram the Arameans, which are also called Syriacs" (Sebastian Brock, "Eusebius and Syriac Christianity," in Harold W. Attridge and Gohei Hata, eds., Eusebius, Christianity, and Judaism (Leiden 1992), p. 226) |
아부 알후사인 '알리 이븐 알후사인 알마수디(Abu Al-husayn Al-husayn Al-mas'udi, 895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태어나 957년 알푸스타트에서 사망)는 "아랍의 헤로도토스"로 알려진 역사가이자 여행자였다. 그는 대규모 작품에서 역사와 과학 지리를 결합한 최초의 아랍인이었다. "투르 압딘은 시리아 시리아인들의 잔재가 아직도 남아 있는 산입니다." (Michael Jan de Goeje: Bibliotheca Geographicorum Arabicorum III, Leiden 1906, 54, I) Abu Al-husayn 'ali Ibn Al-husayn Al-mas'udi, born 895 in Baghdad [Iraq] and died 957 in al-Fustat [Egypt], was a historian and traveler, known as the “Herodotus of the Arabs.” He was the first Arab to combine history and scientific geography in a large-scale work.(Michael Jan de Goeje: Bibliotheca Geographorum Arabicorum III, Leiden 1906, 54, I) |
Prof. Dietrich Hermann Hegewisch born Dec. 15, 1746 in Quakenbrück [Germany] and died April 4, 1812 in Kiel, was a
(D.H. Hegewisch: Die Aramäer oder Syrer; ein kleiner Beitrag zur allgemeinen Weltgeschichte, Berlinische Monatschrift, 2, 1794, p. 193) (ibid, p. 197) (ibid, p. 307) 디트리히 헤르만 헤게비슈 교수는 1746년 12월 15일 콰켄브뤼크[독일]에서 태어나 1812년 4월 4일 킬에서 사망했다. 광범위한 관심사를 가진 킬 대학의 다작의 독일 역사학자 "일반적으로 시리아인이라고 불리는 시리아인이나 실제로 시리아인이라고 불리는 시리아인은 세계 역사에서 보통 주어지는 것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을 자격이 있지 않습니까?" (D.H. 헤게위시: Die Aramäerorder Syrer; 아인슈타인 라이너 Beitrag zurallgemeinen Weltgeschichte, Berlinische Monatschrift, 2, 1794, p. 193) |
"시리아, 아시리아, 메소포타미아, 바빌론 등의 이름은 처음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을 때 이 땅의 진정한 지리에 익숙하지 않았던 그리스인들로부터 유래되었다. 나중에, 일부는 무지를 계속하고 일부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편의 때문에, 그들은 그것들이 더 정확하더라도, 오래되고 친숙한 나라들의 이름과 분단을 포기하고 새로운 것으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것들을 계속 사용했다. 구약성경에서 여러 번 언급되고 있는 이 땅의 옛 이름은 아람이며, 그리스 학자들 역시 시리아인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했기 때문에 아마 이 지역의 주민들을 시리아인으로 묘사했을 것이다." (ibid, 페이지 197) "시리아크족이나 아라메인은 그저 많고 큰 민족일 뿐만 아니라 매우 교양 있는 민족이었다." (ibid, 페이지 307) |
Prof. Theodor Mommsen born Nov. 30, 1817, Garding, Schleswig [now in Germany] died Nov. 1, 1903, Charlottenburg, near Berlin, was a German historian and writer, famous for his masterpiece about the History of Rome. He receiv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n 1902.
"the history of the Aramaean or Syriac nation which occupied the east coast and extended into the interior of Asia as far as the Euphrates and Tigris"
(The History of Rome, written between 1854 and 1856, Leipzig, by Theodor Mommsen, Book First, Chapter One)
"the Arameans defended their nationality with the weapons of intellect as well as with their blood against all the allurements of Greek civilization and all the coercive measures of eastern and western despots, and that with an obstinacy which no Indo- Germanic people has ever equalled, and which to us who are Occidentals seems to be sometimes more, sometimes less, than human."
(ibid, Book Third, Chapter One)
Prof. Theodor Nöldeke born March 2, 1836 in Harburg near Hamburg, died December 25, 1930 in Karlsruhe, was the leading german semitic scholar, who studied at Göttingen, Vienna, Leiden and Berlin.
"The main body of the population of all these wide landscapes from the Mediterranean Sea to beyond the Tigris belonged to a certain nationality, that of the Arameans."
(Th. Nöldeke: Assyrios Syrios Syros, in Zeitschrift für klassische Philologie, Hermes 5, Berlin 1871, p. 460)
"It is well understandable that people have started to transfer the name of the country to the most important nationality and so the name 'syriac' was apprehended ethnological and was equated with 'aramaic'."
(ibid, p. 461)
"Since the times of Alexander [the Great], if not already somewhat earlier, people have started to transfer the name of the Syriacs exclusively over the prevailing in Syria nationality, and in this way this originally political-geographical term became an ethnological one that was identified with the local Arameans."
(ibid, p. 468)
“From the time the Greeks came to have a more intimate acquaintance with Asia, they designated by the name of ‘Syriacs’ the people who called themselves ‘Arameans’.”
(Th. Nöldeke, Kurzgefasste Syrische Grammatik (Leipzig, 1880), p. XXIX)
“Regarding the name of this nation and its language is the original ‘Aramean’ in essence also the only one [sic], that for the employment of the present-day scholarship as yet strongly fits.”
(Th. Nöldeke, “Die Namen der aramäischen Nation und Sprache,” in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25 (1871), p. 131)
Theodor Nöldeke 교수는 1836년 3월 2일 함부르크 근처 하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30년 12월 25일 카를스루에에서 사망했으며 괴팅겐, 비엔나, 라이덴, 베를린에서 공부한 독일의 대표적인 셈족 학자였습니다.
"지중해에서 티그리스 너머까지 이 모든 광활한 풍경의 인구의 주체는 특정 국적, 즉 아람인의 국적에 속했습니다."
(Th. Nöldeke: Assyrios Syrios Syros, Zeitschrift für klassische Philologie, Hermes 5, Berlin 1871, p. 460)
"사람들이 국가의 이름을 가장 중요한 국적으로 옮기기 시작했기 때문에 '시리악'이라는 이름이 민족적으로 이해되고 '아람어'와 동일시된 것은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같은 책, 461쪽)
"알렉산더[대왕] 시대 이후로, 이미 다소 이전은 아니었지만, 사람들은 시리아 국적의 지배자에 대해 독점적으로 시리아인의 이름을 이전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이 원래의 정치-지리학적 용어는 민족학적 용어가 되었습니다. 지역 아람인과 동일시되었다."
(같은 책, 468쪽)
“그리스인들이 아시아와 더욱 친밀해지기 시작한 때부터 그들은 스스로를 '아람인'이라 부르는 민족을 '시리아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Th. Nöldeke, Kurzgefasste Syrische Grammatik (Leipzig, 1880), p. XXIX)
“이 나라의 이름과 그 언어에 관해서는 본래의 '아람어'가 본질적으로 유일하고 [원문 그대로] 오늘날 학문의 고용에 아직 강력하게 적합합니다.”
(Th. Nöldeke, "Die Namen der aramäischen Nation und Sprache",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25(1871), p. 131)
Karl Eduard Sachau born 20 July 1845 and died 1930 was a German orientalist. He was 1872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Vienna, and in 1876,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Berlin, where he was appointed director of the new Seminar of Oriental languages in 1887. He is especially noteworthy for his work on Syriac and other Aramaic dialects.
"The nation of the Arameans: This national name later, mainly in consequence of Jewish-Christian literature influences, gave way to the Greek designation Syriacs."
(Verzeichnis der Syrischen Handschriften der königlichen Bibliothek zu Berlin von Eduard Sachau 1. Abteilung, Berlin 1899, Vorrede I)
칼 에두아르드 사하우(Karl Eduard Sachau)는 1845년 7월 20일에 태어나 1930년에 사망한 독일의 동양주의자였습니다. 그는 1872년 비엔나 대학교 교수, 1876년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1887년에 새로운 동양 언어 세미나의 책임자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는 특히 시리아어 및 기타 아람어 방언에 대한 작업으로 주목할만한 인물입니다.
"아람 사람들의 국가: 이 국가 이름은 주로 유대교-기독교 문학의 영향으로 나중에 그리스 명칭 시리아인으로 바뀌었습니다."
(Verzeichnis der Syrischen Handschriften der königlichen Bibliothek zu Berlin von Eduard Sachau 1. Abteilung, Berlin 1899, Vorrede I)
The Aramean Scholars
Aramaic Heritage of the Syriac Orthodox Church
Ephraem of Nisibis, born c. 306 in Nisibis, Mesopotamia [now Nusaybin, Turkey] passed away June 9, 373, Urhoy/Edessa, Osrhoene [now Sanliurfa, Turkey] was a theologian, poet, hymnist, and doctor of the church, with his byname "Harp of the Holy Spirit".
He speaks of Aram-Nahrin as `our country' in a number of places.
(See Sidney H. Griffith, "Julian Saba, `Father of the Monks' of Syria,"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2 (1994), esp. pp. 201-203)
The Nisibene Hymns:
"From Hebrews and Arameans, and also from the Watchers: to You be praise and through You to Your Father, be also glory!"
(The Nisibene Hymns,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Vol. XIII, translated by Rev. J.T. Sarsfield Stopford, B.A., Hymn 67., no.20.)
Hymn for virgins:
"The Arameans praised him with their branches."
(Edmund Beck, ed., Des Heiligen Ephraem des Syrers Hymnen de Virginitate, Louvain, 1962, CSCO Syr 223, p. 64)
Discourse to Hypatius IV:
"They have combined and made from the word 'man,' 2 as it is written in the Aramaic (the explanation) that this (word) refers to a (single) man, that is the Primal Man, the Father of the Five Shining Ones whom they call ZIWANE (the Bright Ones)."
(S. Ephraim's Prose Refutations of Mani, Marcion and Bardaisan. Transcribed from the Palimpsest B.M. Add. 14623 by C. W. MITCHELL, M.A., volume 1 (1912), p. 122)
[note: Mitchell rendered "Aramaic" as "Syriac" here, see thereforre the original syriac text, where it is "Aramaic"]
Against Bardaisan's "Domnus":
"But the Philosopher of the Arameans (i.e. Bardaisan) made himself a laughing-stock among Arameans and Greeks"
(S.Ephraim's Prose Refutations of Mani, Marcion and Bardaisan. Transcribed from the Palimpsest B.M. Add. 14623 by the late C. W. MITCHELL, M.A., C.F., volume 2 (1921) pp.7)
[note: the translator rendered twice "Arameans" as "Syriacs" here, see therefore the syriac text]
"For because 'light' in the Aramaic language is called as masculine, and 'eye' feminine in the same"
"he, Bardaisan, calls the moon feminine in the Aramaic language"
(ibid, p. 49)
Against Mani:
"and there ended the construction of the Aramaean Philosopher"
(ibid, p. 225)
아람 학자
시리아 정교회의 아람어 유산
니시비스의 에프라엠, c. 306 메소포타미아 니시비스[현재 터키 누사이빈]에서 373년 6월 9일 사망, Urhoy/Edessa, Osrhoene[현재 터키 Sanliurfa]는 신학자, 시인, 찬송가 및 교회 의사였으며 그의 별명은 "하프 성령".
그는 여러 곳에서 Aram-Nahrin을 '우리 나라'라고 말합니다.
(참조 Sidney H. Griffith, "Julian Saba, 'Father of the Monks of 시리아,"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2 (1994), 특히 pp. 201-203)
Nisibene 찬송:
"히브리인들과 아람인들과 또한 파수꾼들에게서도 찬송을 받으실 것이요 너희로 말미암아 너희 아버지께 영광도 있을지어다"
(The Nisibene Hymns,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Vol. XIII, 번역 by Rev. J.T. Sarsfield Stopford, B.A., Hymn 67., no.20.)
처녀들을 위한 찬송:
"아람 사람들이 가지를 가지고 그를 찬양하였다."
(Edmund Beck, ed., Des Heiligen Ephraem des Syrers Hymnen de Virginitate, Louvain, 1962, CSCO Syr 223, p. 64)
히파티우스 IV에 대한 담론:
"그들은 '사람'이라는 단어를 결합하여 만들었습니다. 2 이것은 아람어(설명)에 기록된 대로 이(단어)가 (단일) 사람, 즉 원시인, 다섯 빛의 아버지를 나타냅니다. ZIWANE지아네(밝은 자)라고 하는 자."
(S. Ephraim's Prose Refutations of Mani, Marcion and Bardaisan. Palimpsest B.M. Add. 14623 by C. W. MITCHELL, M.A., volume 1 (1912), p. 122)
[주: Mitchell은 여기에서 "아람어"를 "시리아어"로 번역했습니다. 따라서 원래 시리아어 텍스트를 참조하십시오. 여기서 "아람어"입니다.]
Bardaisan의 "Domnus"를 상대로:
"그러나 아람인(즉, 바르다이산)의 철학자는 스스로 아람인과 그리스인 사이에서 조롱거리가 되었습니다."
(S.Ephraim's Prose Refutations of Mani, Marcion and Bardaisan. Palimpsest B.M. Add. 14623 후기 C. W. MITCHELL, M.A., C.F., 2권(1921) pp.7에서 필사)
[참고: 번역자는 여기에서 "아람인"을 "시리아인"으로 두 번 번역했습니다. 따라서 시리아어 텍스트를 참조하십시오.]
"아람어로 '빛'을 남성으로 부르고 '눈'을 여성으로 부르기 때문입니다."
"그 Bardaisan바르다이산은 달을 아람어로 여성이라고 부른다"
(같은 책, 49쪽)
마니 상대로:
"그리고 거기서 아람 철학자의 건설이 끝났다"
(같은 책, 225쪽)
'아람인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ngir (𒀭, DIĜIR)ㅣ딘기르ㅣ신 여신 (0) | 2022.11.05 |
---|---|
아람인 역사ㅣARAMEAN HISTORY (0) | 2022.11.05 |
아라미안은 누구였을까? (1) | 2022.11.02 |
아람인ㅣ시리아인 ㅣ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아람인이다ㅣSyria...and Bardaisan (0) | 2022.11.02 |